제가 저만의 컴퓨터를 갖고 조립하기 시작한지 17년 정도 되었습니다.
놀랍게도 그 동안 Radeon만을 사용해왔고, 처음으로 NVIDIA를 구매했습니다.
기존에 사용중인 환경
물론 제가 사용하는 환경이 좀 특수하긴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방송인들은 같은 환경을 사용하고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저는 mac으로 discord를 하다보니 녹화는 항상 mac으로 하고 있습니다.
radeon 녹화보다 품질이 훨씬 좋기도 하구요.투컴 방송하는 환경
과 동일하죠.
다른 컴퓨터에서 화면을 녹화하기 위해 캡쳐 카드를 사용했고,
기존에는 캡쳐 카드 passthrough
를 이용하였습니다.
그러다가 이번에 4K 240Hz 모니터를 사면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바로 캡쳐카드 passthrough는 4k 120Hz까지만 가능했기 때문이죠.
디스플레이 복제
그래서 저는 어쩔수 없이 따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복제
하기로 하였습니다.모니터
와 캡쳐카드
로 따로 출력하여 복제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죠.
디스플레이 복제를 하니 정말 많은 문제가 발생 했습니다.
일단 창모드로는 게임이 불가능하다 시피 했어요.
분명히 게임에서는 240fps라고 표시 되지만, 모니터에 입력되는 프레임은 60
이었습니다.
복제된 모니터 중 주사율 낮은 모니터가 60이기 때문이라는 말이 있었죠.
그래서 dx11을 사용하던 dx12를 사용하던 전체화면으로 해결
했습니다.
nvidia로 교체: 전체화면 문제 발생.
그러다가 radeon 그래픽카드의 노후화(?)로 고장이 나면서 이번에 nVidia로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게임을 전체화면으로 설정하면 alt tab을 누르거나 키보드에서 윈도우 로고를 누르면 화면 깜빡거리는 것이 너무 오래 유지 되더군요.
확장으로 하면 괜찬았으나 디스플레이 복제 하면 해상도 변경에 20~30초
가 걸렸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nVidia에 티켓을 생성했습니다.
nvidia 공식 입장에서도 두 디스플레이 설정에 스펙
이 다르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게 왠걸.. 해상도, 색 깊이, 색 영역, 색 포맷, 주사율까지 전부 동일하게 맞추고 복제해도 발생합니다.
..?
시작 메뉴가 뜨는데도 20초, alt tab 눌렀을 때 나오는 창 전환 창 나오는데에도 20초,
시작메뉴나 창 전환 창이 꺼지고 다시 게임으로 돌아오는데 또 20초.
키보드에서 시작 버튼 잘못 누르면 1분 동안은 그냥 맞고만 있어야 하더군요.
심지어 너무 긴 시간 응답하지 않다보니 게임이 crash 되는 경우도 발생했습니다.
창모드를 사용할 때의 문제(게임 fps는 높으나, 모니터로 입력되는 주사율은 낮은 문제)는 nvidia도 동일 했습니다.
그런데 nvidia는 radeon과 달리 전체화면으로 게임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습니다
결국 캡쳐 카드는 cpu에 내장된 통합 그래픽에 연결
하였습니다.
결과는 생각보다 만족스럽게도, dx12 + 전체화면일 때는 alt tab이나 다른 창으로의 전환에 전혀 문제가 없음을 확인 했습니다.
하지면 여전히 dx11은 문제가 있었고, 배그와 달리 dx11이나 dx10만 가능한 게임은 전체화면도 창모드도 불가능
하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구글링 한 해결 방안: OBS Projector
찾아본 결과는 정말 참담했습니다.
일단 디스플레이는 확장하고, OBS를 통해 메인 모니터 캡쳐해서 서브 모니터에 출력하라 하더군요.
근데 OBS는
무얼 캡쳐하거나 녹화하지 않고 그냥 실행하기만 해도 10% 정도 fps가 떨어집니다.
물론 OBS에서 캡쳐할 대상을 아무리 늘려도, 10개를 넣어둬도 게임의 fps는 동일하게 10% 정도만 떨어집니다.실행해두는 것 자체로 DirectX 쪽에 지연
을 발생시키는 것 같습니다.
배틀 그라운드: 극 친 암당 게임
결정적으로 배틀 그라운드가 극친 암당 게임
입니다.
매우 radeon 친화적인 게임이었다는 것이죠.
Rx 6900 Xt 사용할 때, 4K로 게임 어떻게 하냐는 질문을 많이 받았습니다.
nvidia로 바꾸니까 저도 그 질문이 똑같이 나오더라구요.
다른 유저로 인한 환경 변화를 최소화 하기 위해 클랜 훈련장
에서 비교하였습니다.
Rx 6900 Xt로 200fps가 나오던 구간에서는 rtx 4070 ti super에서는 고작 180fps가 나왔습니다.
심지어 날씨 영향도 줄여보고자 클랜 훈련장의 실내 사격장
을 비교해도
4070 ti super가 20~ 30fps가 낮게 나왔습니다.
실제 사녹에서 플레이 해도 연막이 많이 터지면 140, 보통 교전할때 160.
비행기 타기 전, 게임 준비 중일 때는 200은 거뜬히 나왔었는데
nvidia에 와서는 연막은 커녕 그냥 총 쏘기만 하면 140, 게임 준비에서는 200은 커녕 160 겨우 나오더라구요.
3d mark time spy 기준으로 10% 정도 성능 높은 4070 ti super가 15~20 % 정도 fps가 더 낮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3d Mark timespy 기준으로 동급의 그래픽 카드에서는 Radeon이 25% 더 높은 fps
를 출력해줄 수 있을것으로 계산이 됩니다.
더 나아가서 저처럼 OBS를 이용해서 디스플레이 복제를 한다고 가정해봅시다.Radeon + 디스플레이 복제 + 전체화면
vs nvidia + 디스플레이 확장 + obs
+ 전체화면 로 비교하면,
time spy 기준으로 동급의 그래픽 카드라면 Radeon을 이용하여 배틀 그라운드
를 플레이 하는 경우28~ 33% 정도 더 높은 fps
를 보장한다는 이야깁니다.
배틀그라운드 = Radeon
화면 복제를 하지 않고 플레이만 한다고 하더라도 20% 가까이 라데온에서 더 잘 나오고,
화면 복제를 하여 캡쳐하려고 하면 28~ 33% 가까이 라데온이 더 높은 fps가 나올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