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tate에서는 전력 소모량이 커지고, 성능이 큰 상태입니다.
P0가 성능이 가장 크고, Pn이 성능이 가장 작은 상태죠.
c-state에서도 같습니다. 그런데 P에서 가장 성능이 낮은 Pn이 그래봐야 C0 범위 안에 있습니다.
다르게 말하면 C-state에서는 사용하지 않을 때 전력 소모량이 감소하지요.
그럼 스카이레이크 이야기를 해봅시다.
스카이레이크는 전력 소모량 감를 위해 FIVR(Fully Integrated Voltage Regulator: 통합 전압 레귤레이터)가 사라집니다.
이유는 스카이레이크의 TDP 범위 확장입니다.
FIVR은 저전력에서 효율을 망치는 주요 원인입니다. FIVR을 저렴하게 구현하려면 다이 외부에 별도의 인덕터를 요구하는데, 하스웰에서는 패키지 트레이스 인덕터를 도입, 이 인덕터의 인덕턴스는 너무 낮았습니다. 이 인덕터의 적은 용량 때문에 인덕터를 고효율로 사용하기 위해,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유지해야 했습니다. 하스웰은 140MHz를 유지했지요. 하지만 저전력 상황에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인텔의 FIVR은 최고 90% 이상의 높은 전압 레귤레이션 효율을 자랑하지만, 약 2A 이하에서는 효율이 뚝뚝 떨어집니다.
실제로 저전력 모델에서는 FIVR은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고사양 모델에는 포함되면 좋겠지요.
하지만 실제로 i5나 i7 같이 게임이나 전문가들이 사용할 법한 고사양 CPU에 마저도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같은 아키텍처인데, i5라고 해서 FIVR을 포함시키기도 어렵겠지요.
실제로 장시간 사용하면 여러가지 쓰로틀링으로 하스웰이 스카이레이크 보다 성능 좋게 나오곤 합니다.
하스웰과 같은 아키텍쳐에 제조공정 개선된 블로드웰이 스카이레이크보다 비싼 이유겠지요.
그리고 일부 사용자들이 고주파를 경험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 고주파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P-state로 바꾸는 것입니다.
즉, 항상 높은 전력 소모를 유지하도록 하는것이죠.
이러니 스카이레이크의 가장 큰 특징(발열, 전력 소모 갯선)도 없어지고, 성능도 하스웰과 비교해 고만고만하다는 결론 뿐입니다.
AMD가 모듈로 점점 내리막을 걸어가면서 시장 독점으로 반이 나뉠까봐 AMD를 기다려주려나 봅니다.
AMD 파이팅!!
출처
http://cafe.naver.com/msinotebook/114110
http://cafe.naver.com/msinotebook/114084
http://hwtips.tistory.com/1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