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기 인스턴스에 새롭게 적용하고 싶은 것들이 생겼습니다. Cloudflared와 같은 것이 대표적이죠. Cloudflared를 사용하게 되면서 불필요해진 서비스들이 많습니다. VPN 같은 서비스가 대표적인 예시죠. 그러다보니 OS를 재설치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인스턴스를 지우려니 많은 서비스가 중단이 된다는 것을 깨닳았죠. 그래서 기왕 새로 만드는거 가용성을 확보해보자고 결심했습니다. 가용성 확보해보자 정말 많은 연구를 했습니다. OCFS2, GFS2, GlusterFS, Ceph K3s, K8s, Docker…
사전 조건 Cloudflare DNS를 사용중이며, 암호를 걸어둘 서비스는 proxied이거나 Zero Trust tunnel 상태여야 합니다. Cloudflare zero trust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zero trust에 가입되어야 합니다. Zero Trust 애플리케이션 생성 Application: Style Type Zero Trust -> Access -> Applications로 이동합니다. Add an Applications를 누르고 Self-hosted를 누릅니다. Application: Configure App 암호로 잠궈둘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저는 *.domain을 설정했습니다. Application: Add…
목표: 웹 브라우저로 SSH, VNC 사용하기! 사전 조건 Cloudflare Zero Trust Tunnel이 세팅되어있어야 합니다. Cloudflare Zero Trust Tunnel 설정하기 웹브라우저로 SSH 접속하기 접속하는 클라이언트가 WARP에 연결되어있어야 합니다. 그럼 terminal로 ssh user@해서 접속하면 되는거 아닌가? 맞습니다. 그래서 SSH는 그냥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면 되요. 세가지를 설정합니다. ssh login page를 위한 access group을 설정합니다. tunnel의 cloudflared가 ssh로 연결하게…
개요 tunnel의 구성도 처음 보는 용어들이 마구 나올텐데, 덜 헷갈릴 수 있도록 구성도를 보여드리겠습니다. WARP는 cloudflare zero trust와 접속자 사이에 사용되는 연결 방법입니다 단말에서 나가는 트래픽을 제어합니다. tunnel은 cloudflare zero trust와 서버 사이에 사용되는 연결 방법입니다 단말(서버)에서 나가는 트래픽은 제어하지 않습니다. 들어오는 트래픽만 제어됩니다. 당연하지만, warp도 여럿 연결 가능하고, tunnel도 여럿 연결 가능합니다. tunnel에 집의…
역프록시로 Cloudflare zero trust tunnel로 변경 오늘은 왜 바꿨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설정 방법은 천천히 스크린샷과 함께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cloudflare? zero trust? tunnel? 순서대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cloudflare 간략히 말하면 도메인 네임서버 입니다. 근데 그냥 네임서버가 아니예요. 무려 proxy를 제공해줍니다. 일반적으로 domain.com을 요청하면 서버의 ip 주소를 반환해줍니다. 그러나 cloudflare는 proxy 모드라고 하여 조금 특별한 기능을 제공해줍니다. 서버의 ip가 아니라…
nginx를 사용했던 이유 저는 과거에 http/3와 성능 때문에 open litespeed와 litespeed를 사용했었습니다. 같은 성능의 하드웨어에서 가능한한 빠른 성능은 중요한 요소였죠. 특히나 Oracle Cloud의 E2는 1코어 1GB의 엄청난 저사양 인스턴스였기 때문에 더 중요했습니다. 하지만 oracle cloud A1 인스턴스가 출시 되어버리는 사건이 발생해버렸죠… A1 인스턴스는 4코어 24기가바이트의 메모리를 할당 할 수 있게 되었죠. 이 정도 인스턴스에서는 웹서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