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 이 전 글에서 OS install disk를 만들었다면 이번 글에서는 live boot disk를 만들 예정입니다. 리눅스에는 livecd-tools라는 도구로 live cd를 만들수 있습니다. 저도 arm용 rocky linux가 나오기 전에는 livecd-tools로 live boot를 만들어보기도 했고, 지금은 arm용 rocky linux로 live cd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live cd를 이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그보다 훨씬 간단하게…
이 글의 목적 이번 튜토리얼에서 많으면 3개, 적으면 2개의 디스크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 글은 이 디스크에 OS 설치 이미지를 넣어 부팅 디스크로 만들고, 라즈베리파이에서 UEFI로 부팅할 수 있는 디스크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live boot disk와 boot disk에 raspberrypi UEFI Firmware 설치 live boot와 boot가 같은 디스크라면 하나에만 세팅해주면 됩니다. 이 작업은 리눅스일 필요 없습니다. 윈도우에서 해도…
준비물 live boot disk로 사용할 microSD (microSD여도 괜찬고, USB 저장소도 괜찬습니다.) 실제로 부팅할 디스크 boot disk (microSD여도 괜찬고, USB 저장소도 괜찬습니다.+ live boot disk와 같은 디스크여도 괜찬습니다.) OS 설치 disk (fat32로 포맷되어있고, OS 설치 ISO의 내용이 저장된 디스크.+ live boot disk와 같은 디스크여도 괜찬습니다.) usb 키보드, usb 마우스, microHDMI 케이블(디스플레이 출력이 필수입니다) microSD USB리더기: 전체…
이 페이지는 모바일에서 보는 것을 가정하지 않았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 OS 설치하는 것을 모바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였고 이 판단에 따라 데스크탑에서 보는 것만을 가정하였습니다. kABI-tracking kmod가 뭔데? 커널 모듈의 경우 커널이 업데이트 되면 다시 빌드하게 됩니다. 빌드하기 위한 소스를 rpm이나 deb 파일의 형태로 배포하여 커널이 업데이트되면 다시 빌드하는 것이죠. zfs의 경우 zfs-dkms라는 패키지가 있습니다. 이 패키지는 커널이 업데이트되면…
8 -> 9 업그레이드 하기 제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기능이 9에서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9로 업그레이드 하기로 계획했습니다. Oracle Linux는 당연히 오라클에서 repository를 관리해주며, 따라서 오라클에서 업그레이드 방법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사용할 때 오라클 리눅스는 정말 도움이 안됩니다. oracle linux 사용자가 적다보니 오라클 리눅스를 사용 중임에도 oracle linux 대신 rocky linux, centos, rhel이라는 단어와 함께…
댓글 기능 비활성화 했던 이유 댓글 기능에는 스팸 댓글이 많이 달립니다. 과거에는 특정 단어가 포함된 댓글은 달지 못하게 했었습니다. 그럼에도 너무나 많은 스팸 댓글이 달렸습니다. 내용이 그럴듯 하나 작성자 이름이 특정 사이트 e메일인 경우도 있었죠. 결국 댓글 작성 후 저의 수락 하에 사이트에 표시되도록 했습니다. 물론 어림도 없었습니다. 하루에 10개씩 확인하고 삭제하는것도 엄청난 일이었어요. 결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