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Cloud Infrastructure: Remote Peering Group 설정하기
OCI RPG 설정하기 이 글을 쓰게 된 계기는 별거 없습니다. 공식 문서대로 하면 안되기 때문에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Remote Peering Group 연결 공식 문서 먼저 공식문서를 보고 올까요? https://docs.oracle.com/en-us/iaas/Content/Network/Tasks/scenario_e.htm 지금은 upgraded Dynamic Routing gateway만 만들수 있습니다. Upgraded DRG 문서를 따르면 됩니다.이 문서까지는 틀린점이 없습니다. 이 문서를 간단히 요약해보겠습니다. 여기서 문제는 2번에서 생성하는 IAM Policies가 문제입니다. IAM…
zfs on HDD 단점
결론적으로 zfs를 nvme ssd와 sata ssd, HDD 모두에 구현하면 nvme와 sata ssd 모두 hdd 성능으로 하락하게 됩니다. zfs 2.3.0에서는 direct io 기능이 추가 된다 하기에 HDD로 인해 flash 저장소가 성능이 감소하는 증상이 해결 되기를 기대했으나 여전히 동일한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저는 zfs 디스크 위에 zvol을 생성 하고, 그 volume을 이용하여 ceph를 구성하였습니다.이렇게 구성하니 ssd성능도 하락하고, ssd에…
매우 주관적인 Apple macOS iOS iPadOS 26 후기
전혀 객관적이지 않습니다. 꽤 많은 유튜버와 블로거들이 글을 많이 써줬습니다. 하지만 그 글과 영상에서 간단히 넘어갔으나, 저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이 꽤 많더군요. 그래서 완전히 제가 애플 기기를 사용하면서 중요하게, 그리고 편하게 생각했던 기능들을 중심으로어떤 변화가 있는지 작성해보기로 하였습니다. 제가 사용했던 기능들이 중심이다보니, 중요하게 여기는 기능들은 조금 길게 작성되어있습니다. UI 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우리는 액정…
생애 첫 NVIDIA: 대실망
제가 저만의 컴퓨터를 갖고 조립하기 시작한지 17년 정도 되었습니다.놀랍게도 그 동안 Radeon만을 사용해왔고, 처음으로 NVIDIA를 구매했습니다. 기존에 사용중인 환경 물론 제가 사용하는 환경이 좀 특수하긴 합니다.하지만 대부분의 방송인들은 같은 환경을 사용하고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저는 mac으로 discord를 하다보니 녹화는 항상 mac으로 하고 있습니다.radeon 녹화보다 품질이 훨씬 좋기도 하구요.투컴 방송하는 환경과 동일하죠. 다른 컴퓨터에서 화면을 녹화하기…
분산 스토리지 벤치마킹: linstor (drbd) vs ceph
정말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회사 업무와 건강 문제로 너무나도 바쁜 나날이 지났습니다. xcp-ng와 linstor (oxstor) proxmox와 xcp-ng를 비교하던 중 xostor라는 분산 스토리지 솔루션에 대해서 알게되었습니다.아직은 베타지만, 공식적으로 지원 예정이라고 하기에 조금 알아봤어요. linxtor의 장점과 단점 조사해본 장점은 성능이었습니다.장점이자 단점으로는 Linux Kernel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이죠. xcp-ng를 설치해보시면, kernel 버전이 매우 낮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25년 1월 기준으로…
ceph 사용시 절대 하면 안되는 것: RBD pool을 erasure code로 만드는 것.
ceph로 데이터 날려보면서 계속 배우고 있네요. 이번에 배운것은.. RBD pool을 erasure code로 사용하면서 발생 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복구 성능 이슈로 RBD pool을 erasure code로 사용하면 안됩니다. 어떤 환경에서 사용중이었는지 설명해주세요. 저는 proxmox 머신 3대를 clustering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proxmox의 ceph도 사용 중입니다.당연히 vm 부팅에 사용되는 가상디스크 이미지는 mirror된 풀에 저장되어있습니다. 왜 disk 이미지가 저장되는 RBD pool을 erasure…
cloudflared high available and failover
언제 추가 된 문서인지 모르겠으나, 오늘 cloudflare 관련 작업 중 이런 문서를 찾았습니다. https://developers.cloudflare.com/cloudflare-one/connections/connect-networks/deploy-tunnels/deploy-cloudflared-replicas/#deploy-a-load-balancer 바로 고가용성입니다. High Availability를 지원하기 전 이 전에는 하나의 tunnel token으로 cloudflared를 여러개 구동하면 두번째로 실행한 cloudflared는 에러가 발생 되었습니다. 따라서 모든 vm마다 서로 다른 cloudflare tunnel을 구현할 수 밖에 없었죠. 게다가 kubernetes나 docker swarm 처럼 클러스터링 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서조차…
ceph erasure code 사용후 데이터 날린 후기
제목부터 강렬합니다.지금 매우 기분이 나쁩니다…다시는 경험하지 않기 위해, 다른 분들도 겪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replication 3 vs erasure code 2k+1m 사실 ec에도 여러가지 모드(?)가 있긴 하더군요. 하지만 오로지 k와 m을 설정하는 jerasure 플러그인만 홈페이지에 설명 되어있습니다. 저는 두가지가 같다고 생각했습니다.host 한개가 다운되면 문제 없고, 2개 다운되면 접근이 불가능해지죠. 단지 성능이 낮아지고, 사용…
filelayout을 이용하여 cephfs의 성능을 향상 시켜보자
ssd와 HDD가 모두 존재할 때, HDD의 성능을 향상 시켜보려고 합니다. File의 inode 정보는 data에 저장됩니다. 먼저, Ceph의 FileSystem(이하 fs)에는 metadata와 data가 존재합니다.metadata는 당연히 ssd에 넣으셨겠죠.하지만 문제는 data입니다. 저는 당연히 inode 같은 메타 정보는 ceph FS의 metadata에 저장되는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CEPH 공식 문서의 CREATE A CEPH FILE SYSTEM 게시물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The data…
Rancher Fleet의 apiServerURL 변경
배경 설명을 드리자면, Rancher와의 통합을 위해 Fleet으로 CD(Continuous Delivery)를 시험해봤습니다.하지만 apiServerURL을 바꿔도 Rancher UI 주소로 변경되고, 가끔은 인증서 문제도 발생하고 하여 CD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ArgoCD를 이용했었는데, github의 rancher/fleet을 보니 apiServerURL 값을 어디서 가져오는지 소개되고 있더군요.따라해보니 잘되는 것 같아서 이렇게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과거에는 문제가 발생하면 Fleet을 구성할 때부터 안되는 것이 아니라 구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