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ux에서 EFI bootmenu 제어하기

    기존에 ZBM 구성하는 글을 작성하면서 systemctl reboot –firmware-setup를 이용해서 UEFI에서 부트메뉴를 추가하도록 안내해드렸었습니다.zfs boot menu 구성하기 • cola16k 최근에 proxmox에 zbm을 구성하면서 linux의 efibootmgr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부트메뉴를 추가/제거 순서 변경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boot menu 추가하기 efibootmgr -c -d $DISK -p $partition -L $’Boot menu name’ -l ‘EFI 파일 경로(/EFI/BOOT/BOOTX64.EFI)’ 설명을 하면 -d 뒤에는 디스크를…

    Read More

  • Proxmox에 ZBM 사용하기

    ZBM이란? ZBM은 zfs 기반의 리눅스를 위한 bootloader입니다.GRUB을 대체하게 됩니다.그러면 GRUB과의 차이점이 무엇일까요? 커널/initramfs 자동인식 GRUB은 /boot 폴더 안에 kernel과 initramfs를 추가한 이후, grub2-mkconfig를 해줘야 합니다.반면에 zbm은 /boot 폴더 안에서 숫자가 가장 높은 kernel과 initramfs를 찾아서 부팅해줍니다./boot 안에 kernel과 initramfs를 단순히 복사하기만 해도, 커널 업데이트가 끝난다는 것이죠. zpool로 chroot fstab을 잘못 건드려서 부팅이 안되면, 부트로더에서 os의…

    Read More

  • GlusterFS + Docker Swarm: 2편 Swarm

    계기 인스턴스에 새롭게 적용하고 싶은 것들이 생겼습니다. Cloudflared와 같은 것이 대표적이죠. Cloudflared를 사용하게 되면서 불필요해진 서비스들이 많습니다. VPN 같은 서비스가 대표적인 예시죠. 그러다보니 OS를 재설치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인스턴스를 지우려니 많은 서비스가 중단이 된다는 것을 깨닳았죠. 그래서 기왕 새로 만드는거 가용성을 확보해보자고 결심했습니다. 가용성 확보해보자 정말 많은 연구를 했습니다. OCFS2, GFS2, GlusterFS, Ceph K3s, K8s, Docker…

    Read More

  • GlusterFS + Docker Swarm & Traefik: 1편 GlusterFS

    계기 인스턴스에 새롭게 적용하고 싶은 것들이 생겼습니다. Cloudflared와 같은 것이 대표적이죠. Cloudflared를 사용하게 되면서 불필요해진 서비스들이 많습니다. VPN 같은 서비스가 대표적인 예시죠. 그러다보니 OS를 재설치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인스턴스를 지우려니 많은 서비스가 중단이 된다는 것을 깨닳았죠. 그래서 기왕 새로 만드는거 가용성을 확보해보자고 결심했습니다. 가용성 확보해보자 정말 많은 연구를 했습니다. OCFS2, GFS2, GlusterFS, Ceph K3s, K8s, Docker…

    Read More

  • caddy를 역프록시로 사용하기

    nginx를 사용했던 이유 저는 과거에 http/3와 성능 때문에 open litespeed와 litespeed를 사용했었습니다. 같은 성능의 하드웨어에서 가능한한 빠른 성능은 중요한 요소였죠. 특히나 Oracle Cloud의 E2는 1코어 1GB의 엄청난 저사양 인스턴스였기 때문에 더 중요했습니다. 하지만 oracle cloud A1 인스턴스가 출시 되어버리는 사건이 발생해버렸죠… A1 인스턴스는 4코어 24기가바이트의 메모리를 할당 할 수 있게 되었죠. 이 정도 인스턴스에서는 웹서버에…

    Read More

  • zfs(2.1.5) vs btrfs (kernel 6.2.7)

    결론 요약하면, 성능 때문에 zfs를 쓸 이유가 없어졌습니다. 지금까지 zfs의 성능은 압도적이었고, 성능을 위해 zfs 쓸 가치가 있었는데 한참 전부터 zfs의 성능은 압도적이지 않았고, 성능을 위해서 수많은 대안이 있었습니다. 모순처럼 들리겠지만 모순이 아닙니다 문제는 버전 리눅스는 구형 커널, 구형 패키지를 최신으로 제공하는 배포판이 있기 때문에 이것이 성립합니다. 좀 더 명확하게 적어보겠습니다. zfs/2.1.5의 성능은 kernel/4.18보다 압도적이었고,…

    Read More

  • btrbk 설정(btrfs auto snapshot setup)

    btrfs 계의 auto-snapshot zfs auto snapshot을 대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찾아보다가 찾았습니다. 아직은 fedora에서만 되는 것 같더군요. 기능1: 자동 스냅샷 주기적으로 스냅샷을 찍어줍니다. 얼마나 저장할지 설정할 수 있고, 매 시간 마다 찍은 스냅샷도 일정 기간이 지나면 하루에 한개로 줄여서 보관할 수도 있습니다. 기능2: 스냅샷 읽기 전용 마운트 마운트까지 해줍니다. 파일 잘못 건드려서 날라갔다면 심플하게 스냅샷…

    Read More

  • BTRFS vs ZFS on OCI

    OCI에 zfs를 사용시 예상되는 문제 이전에 공개한 OCFS2 VS GlusterFS글에서 GlusterFS를 사용하기로 하였습니다 그 이유로 Filesystem의 장점을 사용할 수 있다는 언급을 드렸죠. 그래서 당연히 익숙한 zfs를 사용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에 봉착합니다. 설치 과정의 복잡함 OCI에 zfs 기반의 fedora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과정은 간략하게 말해서 다음과 같습니다. 1. fedora 설치(또는 live 이미지로 boot) 2. arm용 fedora에서는 zfs를…

    Read More

  • OCFS2 vs GlusterFS

    OCFS2의 경쟁 제품은 GFS2 제목이 위와 같기 때문에 오해를 일으킬 수 있어서 소제목으로 명확히 하였습니다. 제 고민은 같은 기능을 하는 제품 간의 비교가 아닙니다. 정확히 따지면 OCFS2를 활용한 인프라 구조와 GlusterFS를 사용했을 때의 인프라 구조에 대한 고민입니다. 간략히 설명드리면 OCFS2는 하나의 디스크를 각각의 머신에 연결하되, 이 때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이고, GlusterFS는 디스크가…

    Read More

  • Oracle Cloud에 Custom Image를 import하고 Instance를 생성해보자

    왜 fedora? cloud OS면 다 됩니다! 요즘 제가 fedora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습니다. FEDORA 사용 후기 위 글에도 적었듯이, fedora는 업데이트가 굉장히 잦아서 제가 사용하는 환경에서 안정적인지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집의 데스크탑에 가상머신을 켜고 24시간 돌리기도 어렵고, cloud 환경과 desktop 환경은 다르기 때문에 desktop에서 문제가 없다고 해도 cloud compute 환경에서는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fedora는…

    Read More

Ads Blocker Image Powered by Code Help Pro

광고 차단 감지됨!

닫기를 누르면 이용하실 수 있지만, 광고 차단은 해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Powered By
Best Wordpress Adblock Detecting Plugin | CHP Adbl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