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tespeed Enterprise
용어 정리
LiteSpeed Web Server 이름이 혼잡합니다.
litespeed라고 부르면 보통 무료 버전이고, paid나 enterprise가 붙어있으면 유료 버전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어딘가에서 보면 무료 버전은 OLS라고하고, 무료버전을 OLS라고 칭하는 곳에서는 유료 버전을 LSWS라고 부르더군요.
제 글에서는 혼동을 최소화 하고자 무료 버전과 유료 버전이라고 표기하거나, OLS(Open LiteSpeed)와 LSWS(LiteSpeed Web Server)로 표현하겠습니다.
버전에 대한 언급 없이 litespeed라고 적으면 유료와 무료 모두에 대해 말하는 것입니다.
Litespeed 유료 버전 조건
Oracle Free Tier를 시작한 이후 저의 워드프레스가 Oracle로 이전했습니다.
놀랍게도 Litespeed 유료 버전이 서버 컴퓨터의 메모리가 2기가 미만이고 하나의 도메인만 사용하면 무료라더군요.
Litespeed 유료 버전 장점
Open LiteSpeed에서는 워드프레스의 LiteSpeed Cache의 모든 기능을 켜둘 경우 LiteSpeed admin console 로그에 보면 엄청나게 많은 에러가 표시됩니다.
.htaccess도 사용 못하고 여러가지 기능에 제한이 되기 때문입니다.
wordpress 가상 호스트에 최소한만 설정해두면 나머지는 .htaccess에 의하여 대부분이 설정됩니다.
.htaccess는 litespeed에서만 사용하는 파일이 아니다보니 wordpress용 litespeed 플러그인 뿐만 아니라 다른 플러그인에서도 .htaccess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무료 버전에서는 그러한 기능들이 전부 무시될 수 밖에 없습니다.
저의 환경
저는 LiteSpeed를 독커를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Open LiteSpeed Docker 깃허브
하지만 불행히도 OLS에 시리얼 넘버를 적는 것만으로 LSWS로 변하지 않더군요.
LSWS Docker 깃허브
완전히 다른 이미지가 존재합니다.
독커 이미지 변경 시도 (실패)
OLS와 LSWS의 docker-compose.yml과 .env 같은 docker-compose에 필요한 파일들의 내용을 비교해가면서 변경하였습니다.
하지만 litespeed 컨테이너는 부팅에 실패하더군요.
docker-compose.yml 파일에 보면 litespeed 컨테이너는 lsws 폴더에 있는 파일들만 사용합니다.
그래서 lsws에 있는 파일을 지워서 lsws 컨테이너를 부팅했더니 성공하였습니다.
그래서 OLS에 사용한 폴더를 LSWS로 부팅하면서 생성된 파일을 넣어보았습니다.
건너띄기로 추가된 파일만 넣어보기도 하고, 덮어쓰기로 새로 생성된 모든 파일을 써봤지만 부팅 실패..
lsws 폴더는 지우고 다시 container 실행
한마디로 그냥 보고 베끼기.
결국은 그냥 lsws을 다시 설정하기로 했습니다.
저는 NAS가 있으니 NAS에 있는 설정을 보고 베끼기만 하면 되는 것이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문제가 있었습니다.
달라지는 UI, 찾을수 없는 설정
저는 UI가 달라지면서 websocket, php.ini override를 찾지 못했습니다.
php.ini를 일부 가상 호스트에서만 php.ini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그리고 웹소켓 프록시는 리버스 프록시를 이용하는 가상 호스트에는 필수죠.
보시다 시피 websocket proxy 탭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검색해보니, lsws 4.0 시절엔 또 add-ons 왼쪽에 있었더군요.
결과를 말씀드리면 websocket은 탭에서 General 탭 안으로 옮겨졌고, php.ini는 Apache Style Configurations라는 이름으로 설정이 존재했습니다.


변경 후기
분명 유료버전이라는데 UI도 훨씬 못생겼고, graceful restart 누르면 계속 홈으로 이동되고, 뒤로가기 하거나 새로고침하면 다시 보낼것이냐고 물어보더군요.
기능 안보면 아무리 봐도 OLS가 유료버전이고 LSWS가 무료버전여있습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