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 RHEL을 zfs에 설치하기 위해 디스크를 zfs로 파티셔닝 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boot disk에 부팅을 위한 boot 파티션, root 파티션, swap을 생성하고 이 파티션에 OS를 설치하기 위해 마운트 할 것입니다. 파티션 번호 주의 매우 주의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우리가 boot disk를 빈 disk에 설정한다고 해도, 해당 디스크에는 UEFI firmware 파티션이 존재합니다. live boot나 ISO 설치…
이 글의 목적 디스크를 zfs로 파티셔닝 하고 서브 볼륨을 만들려면 이 OS가 zfs를 관리할 수 있어야겠지요. 그래서 live(?) boot OS에서 zfs 패키지를 빌드하고 설치하기 위한 준비를 합니다. 요구사항 여기부터 공식 절차를 따라 합니다. zfs 소스를 받고 빌드하며, dnf로 zfs 파티션에 OS를 설치해야하므로 인터넷 연결이 필요합니다. SSH 연결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우리는 live boot linux 설치 과정에서…
이 글의 목적 이 전 글에서 OS install disk를 만들었다면 이번 글에서는 live boot disk를 만들 예정입니다. 리눅스에는 livecd-tools라는 도구로 live cd를 만들수 있습니다. 저도 arm용 rocky linux가 나오기 전에는 livecd-tools로 live boot를 만들어보기도 했고, 지금은 arm용 rocky linux로 live cd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live cd를 이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그보다 훨씬 간단하게…
이 글의 목적 이번 튜토리얼에서 많으면 3개, 적으면 2개의 디스크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 글은 이 디스크에 OS 설치 이미지를 넣어 부팅 디스크로 만들고, 라즈베리파이에서 UEFI로 부팅할 수 있는 디스크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live boot disk와 boot disk에 raspberrypi UEFI Firmware 설치 live boot와 boot가 같은 디스크라면 하나에만 세팅해주면 됩니다. 이 작업은 리눅스일 필요 없습니다. 윈도우에서 해도…
준비물 live boot disk로 사용할 microSD (microSD여도 괜찬고, USB 저장소도 괜찬습니다.) 실제로 부팅할 디스크 boot disk (microSD여도 괜찬고, USB 저장소도 괜찬습니다.+ live boot disk와 같은 디스크여도 괜찬습니다.) OS 설치 disk (fat32로 포맷되어있고, OS 설치 ISO의 내용이 저장된 디스크.+ live boot disk와 같은 디스크여도 괜찬습니다.) usb 키보드, usb 마우스, microHDMI 케이블(디스플레이 출력이 필수입니다) microSD USB리더기: 전체…
이 페이지는 모바일에서 보는 것을 가정하지 않았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 OS 설치하는 것을 모바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였고 이 판단에 따라 데스크탑에서 보는 것만을 가정하였습니다. kABI-tracking kmod가 뭔데? 커널 모듈의 경우 커널이 업데이트 되면 다시 빌드하게 됩니다. 빌드하기 위한 소스를 rpm이나 deb 파일의 형태로 배포하여 커널이 업데이트되면 다시 빌드하는 것이죠. zfs의 경우 zfs-dkms라는 패키지가 있습니다. 이 패키지는 커널이 업데이트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