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기능 비활성화 했던 이유 댓글 기능에는 스팸 댓글이 많이 달립니다. 과거에는 특정 단어가 포함된 댓글은 달지 못하게 했었습니다. 그럼에도 너무나 많은 스팸 댓글이 달렸습니다. 내용이 그럴듯 하나 작성자 이름이 특정 사이트 e메일인 경우도 있었죠. 결국 댓글 작성 후 저의 수락 하에 사이트에 표시되도록 했습니다. 물론 어림도 없었습니다. 하루에 10개씩 확인하고 삭제하는것도 엄청난 일이었어요. 결국…
문제점: 반복문이 줄바꿈을 기준으로 반복하지 않고, 줄바꿈까지 한 줄로 취급됨 파일을 관리하려고 반복문을 사용하려고 하였습니다. find를 통해서 파일 목록을 가져오고, 해당 파일들에 대하여 복사 및 권한 등의 관리를 하려고 합니다. 먼저 find를 통해 파일 목록을 가져오고 for 문을 사용하여 각 파일에 대해 명령을 수행합니다. 저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예상하였습니다. 이 글을 쓴 시점에서 예상하셨겠지만, 다르게…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전 글에서 언급했듯이 리눅스를 건드리다보면 포트를 확인해야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지 확인하는 경우도 있지만, 해당 포트가 사용중이어서 포트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id를 확인하는 명령이 존재합니다. fuser 8081/tcp 라고 입력하면 해당 포트를 사용하는 pid가 표시됩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잘 알려진 netstat이 있습니다. netstat -tunap # t tcp # u udp #…
리눅스에서 포트를 보는 경우가 두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포트가 이미 사용중이어서 서비스를 시작하지 못하는 경우와 서비스가 가동 되었으나 접속이 불가능할 때,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할 때지요. 첫번째의 경우에는 PID는 확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포트가 개방되어있는지 뿐만 아니라 방화벽 등등을 거쳐 실제로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지도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두번째 경우에는 방화벽이 열려있는지는 나중에 확인해도 되지만 PID나 프로세스…
3일 연속로 안오는 것으로 보아 열차 연착 같은게 아니라 열차 배치가 변경 된 듯 합니다 대방역 하행선 기준 8시 56분 9시 열차 없어 졌습니다. 하루 하루 늦어 면서 알아봐야 한다니…
배경 저는 일부 광고 차단하는 VPN 서버를 OCI에 구축해두었습니다. docker로 wireguard VPN과 AdGuard Home을 구축하고, wireguard는 DNS 서버로 AdGuard Home을 가리키도록 설정하였습니다. 광고 차단 뿐만 아니라 맬웨어 차단 등 여러가지 보호 기능을 제공해주는데다가 캐시도 제공해주기 때문에 우분투의 DNS도 AdGuard Home을 가리키도록 설정했습니다. 이를 위해 Ubuntu에 내장된 DNS 서버를 껐두었고, AdGuard Home 독커 컨테이너의 IP주소가 10.10.10.10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