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적으로 zfs를 nvme ssd와 sata ssd, HDD 모두에 구현하면 nvme와 sata ssd 모두 hdd 성능으로 하락하게 됩니다.

zfs 2.3.0에서는 direct io 기능이 추가 된다 하기에 HDD로 인해 flash 저장소가 성능이 감소하는 증상이 해결 되기를 기대했으나
여전히 동일한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저는 zfs 디스크 위에 zvol을 생성 하고, 그 volume을 이용하여 ceph를 구성하였습니다.
이렇게 구성하니 ssd성능도 하락하고, ssd에 만들어둔 ceph volume도 똑같이 성능이 하락 하더군요.

zfs 장점

물론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 처음 사용할 때는 sdcard의 io가 크게 향상 되는 것을 체감했기에 좋아하기 시작 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ram보다 빠른 nvme까지 나오고 있는 시점에서 zfs의 성능 이점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해봐야 ssd의 발열량이 줄어드는 정도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그 외에도 장점이 엄청 많습니다. raidz1, raidz2와 raid 변경, 디스크 추가, 변경 등에서 너무 자유롭습니다.

또 다른 zfs 단점

하지만 zypper나 apt, dnf 같은 패키지 매니저에서 패키지 설치하면 snapshot을 찍는 등의 linux와의 integration이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btrfs의 경우 snapshot rollback을 할 때, 시간 기준으로 rollback 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 내역을 기반으로 rollback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또한 kernel이 업데이트 되면서 부팅이 안될수도 있구요.

결론

저는 btrfs를 부팅 디스크의 filesystem으로 사용하고, 데이터용으로 zfs 사용하는 것이 좋아보이더군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Ads Blocker Image Powered by Code Help Pro

광고 차단 감지됨!

닫기를 누르면 이용하실 수 있지만, 광고 차단은 해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Powered By
Best Wordpress Adblock Detecting Plugin | CHP Adblock